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입하고 납부하여 소득 없는 노후에 대비할 수 있는 국민연금 노령연금, 평균수명 연장과 인구 감소로 국민연금 수령나이는 차츰 늦춰져 1969년생 이후부터는 만 65세부터 수령할 수 있는데요.
국민연금 수령 중 소득이 발생하면 노령연금 금액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궁금하신 분들 많으실 것 같습니다. 본 포스팅에서 그 궁금증을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 기준 국민연금 수령시 소득이 있는 경우, 노령연금 금액에 대해 알아봅시다.
목차
1. 소득이 있는 업무
2. 국민연금 수령시 소득이 있는 경우
3. 노령연금 금액 예상 월액표
1. 소득이 있는 업무
위에서 '소득이 있는 업무'란 2023년 기준으로 아래 계산식에 따른 월평균소득금액이 2,861,091원보다 많은 경우를 해당되며, 동 금액은 '연금수급 전 3년간의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월액의 평균액'으로 부터 계산된 값입니다.
§ 월평균소득금액: {근로소득금액 + 사업소득금액} ÷ 종사 개월수
* 근로소득금액 = 총급여 - 근로소득공제액
* 사업소득금액 = 총수입금액 - 필요경비
* 종사 개월 수는 해당 연도 사업소득금액과 근로소득금액 기준 해당 연도 1월~12월 기간 중 소득활동에 종사한 기간
'연금수급 전 3년간의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월액의 평균액'은 매년 12월 31일 기준 국민연금 사업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기준소득월액을 평균하여 최근 3년치를 평균한 금액을 말합니다.
위 내용은 국민연금법 시행령 제45조(소득이 있는 업무)에 근거합니다.
2. 국민연금 수령시 소득이 있는 경우
국민연금 수령시 소득이 있는 경우는 매년 말 산정되는 월평균소득금액이 일정금액을 초과할 때 아래 표의 내용대로 노령연금을 수령하게 됩니다. 2023년 기준금액은 2,861,091원입니다. 초과소득월액의 구간별로 연금월액이 감액됩니다.
월평균소득금액 초과소득월액 |
노령연금 지급 감액분 | 월 감액금액 |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근로소득공제 전 기준 금액 (12개월 종사 기준) |
|
총급여 | 월급여 | |||
< 100만원 | 초과소득월액의 5% | 5만원 미만 | 46,403,254원 초과 | 3,866,938원 초과 |
≥ 100만원 < 200만원 |
5만원+ (100만원 초과 소득월액의 10%) |
5~15만원 미만 | 59,034,834원 이상 | 4,919,569원 이상 |
≥ 200만원 < 300만원 |
15만원+ (200만원 초과 소득월액의 15%) |
15~30만원 미만 | 71,666,413원 이상 | 5,972,201원 이상 |
≥ 300만원 < 400만원 |
30만원+ (300만원 초과 소득월액의 20%) |
30~50만원 미만 | 84,297,992원 이상 | 7,024,832원 이상 |
≥ 400만원 | 50만원+ (400만원 초과 소득월액의 25%) |
50만원 이상 | 96,929,571원 이상 | 8,077,464원 이상 |
가입기간이 10년 이상, 지급개시연령에 도달해 국민연금 수령시 소득이 있는 경우, 2015년 7월 29일 이후 수급권을 취득(이 날짜 이후로 만 60세 생일에 도달)한 사람에게는 지급개시연령부터 5년 동안 소득 수준에 따라 감액된 연금액이 지급됩니다. 이때 부양가족연금액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국민연금 수령시 소득이 있는 경우 연금액이 감액되더라도, 출생연도별 지급연령 도달일로부터 5년 이내에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을 경우 감액되지 않은 연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시 소득이 있는 경우, 다시 소득이 없어지는 경우는 각각 그 내용을 국민연금 관리공단에 신고해야 합니다.
3. 노령연금 금액 예상 월액표
노령연금 금액 예상월액은 국민연금 가입기간과 가입기간중 기준 소득월액 평균액에 따라 달라집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C에서 확인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순번 | 가입기간중 기준소득월액 평균액 | 연금보험료(9%) | 가입기간 | ||||||
10년 | 15년 | 20년 | 25년 | 30년 | 35년 | 40년 | |||
1 | 350,000 | 31,500 | 163,560 | 243,840 | 324,110 | 350,000 | 350,000 | 350,000 | 350,000 |
2 | 400,000 | 36,000 | 166,110 | 247,630 | 329,160 | 400,000 | 400,000 | 400,000 | 400,000 |
3 | 500,000 | 45,000 | 171,200 | 255,230 | 339,260 | 423,280 | 500,000 | 500,000 | 500,000 |
4 | 600,000 | 54,000 | 176,290 | 262,820 | 349,350 | 435,880 | 522,400 | 600,000 | 600,000 |
5 | 700,000 | 63,000 | 181,390 | 270,420 | 359,440 | 448,470 | 537,500 | 626,520 | 700,000 |
6 | 800,000 | 72,000 | 186,480 | 278,010 | 369,540 | 461,060 | 552,590 | 644,120 | 735,650 |
7 | 900,000 | 81,000 | 191,580 | 285,600 | 379,630 | 473,660 | 567,680 | 661,710 | 755,740 |
8 | 1,000,000 | 90,000 | 196,670 | 293,200 | 389,720 | 486,250 | 582,780 | 679,310 | 775,830 |
9 | 1,100,000 | 99,000 | 201,760 | 300,790 | 399,820 | 498,840 | 597,870 | 696,900 | 795,930 |
10 | 1,200,000 | 108,000 | 206,860 | 308,380 | 409,910 | 622,550 | 612,970 | 714,490 | 816,020 |
11 | 1,300,000 | 117,000 | 211,950 | 315,980 | 420,010 | 524,030 | 628,060 | 732,090 | 836,110 |
12 | 1,400,000 | 126,000 | 217,040 | 323,570 | 430,100 | 536,630 | 643,150 | 749,680 | 856,210 |
13 | 1,500,000 | 135,000 | 222,140 | 331,170 | 440,190 | 549,220 | 658,250 | 767,270 | 876,300 |
14 | 1,600,000 | 144,000 | 227,230 | 338,760 | 450,290 | 561,810 | 673,340 | 784,870 | 896,400 |
15 | 1,700,000 | 153,000 | 232,330 | 346,350 | 460,380 | 574,410 | 688,430 | 802,460 | 916,490 |
16 | 1,800,000 | 162,000 | 237,420 | 353,950 | 470,470 | 587,000 | 703,530 | 820,060 | 936,580 |
17 | 1,900,000 | 171,000 | 242,510 | 361,540 | 480,570 | 599,590 | 718,620 | 837,650 | 956,680 |
18 | 2,000,000 | 180,000 | 247,610 | 369,130 | 490,660 | 612,190 | 733,720 | 855,240 | 976,770 |
19 | 2,100,000 | 189,000 | 252,700 | 376,730 | 500,760 | 624,780 | 748,810 | 872,840 | 996,860 |
20 | 2,200,000 | 198,000 | 257,790 | 384,320 | 510,850 | 637,380 | 763,900 | 890,430 | 1,016,960 |
가입기간중 기준 소득월액 평균액이 230만 원 이상인 경우의 노령연금 금액 확인과 세부 산출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기준소득월액 하한액 350,000원과 상한액 5,530,000원은 2023년 7월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국민을 든든하게 연금을 튼튼하게
노령연금의 종류 노령연금은 국민연금의 기초가 되는 급여로 국민연금 가입자가 나이가 들어 소득활동에 종사하지 못할 경우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을 위하여 지급되는 급여로써 가입기간(연금
www.nps.or.kr
※ 더 보기: 출생연도별 국민연금 수령나이와 조기수령 조건
국민연금 수령나이, 조기수령 조건, 수령액 알아보기
가입자의 노후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국민연금은, 일정 기간 동안 우리나라 국민 모두가 적립한 금액을 은퇴 후 일정 기간마다 연금 형태로 수령할 수 있는 사회보장제도입니다. 전국민을 대상
moneystation.raiself.com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차이, 기초연금 수급자격과 신청방법 (0) | 2023.03.16 |
---|---|
국민연금 수령나이, 조기수령 조건, 수령액 알아보기 (0) | 2023.03.09 |
청년도약계좌 출시 언제? 가입조건, 신청기간? vs 청년희망적금 비교 (0) | 2023.03.08 |
댓글